현재 진행 수 1,431

[보도] 제1회 상상인작품상에, 김은상 시인 ‘목련의 방’

2022.03.15

​제1회 상상인작품상 김은상 시인 선정

 

1회 상상인작품상에 김은상 시인의 목련의 방이 선정됐다. 상상인작품상은 [상상인] 게재 작품의 문학성을 높이고 시인들의 사기 진작에 기여하기 위해 제정됐다.
따라서 제1회는 2021년 창간호부터 2022년 제3호까지 수록된 작품을 심사 대상으로 삼았다.

김은상 시인은 2009[실천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해 시집 [유다복음], 소설 [빨강 모자를 쓴 아이들], [나의 아름다운 고양이 델마]를 출간했다.
수상작품에 대해 김은상 시인은 “15년 전 결연을 맺었던 한 결손가정의 이야기라며 여러 가지 이유로 할머니와 아이들에게 최선을 다하지 못했던 마음이 시로 남았다고 말했다.
 

올해 심사는 이성혁 시인과 전해수 시인 신상조 평론가 맡았다. 심사위원은 목련의 방에 대해 가난과 폭력으로 점철되는 가족 서사가 시의 배경이라면 신산한 삶의 비명과 울음이 전경화된 것이 목련의 방이다고 해석했다.
그리고 이러한 비극성은 한국인에게 꽤 보편적이며 이 보편성이 지닌 공감의 힘이 존재의 슬픔을 승화시킨다고 평가했다.

 

상상인작품상의 상금은 300만원이며 시상식은 430일 종로 강호갤러리에서 열린다. 








[심사평]

 

1상상인작품상후보로 1차 심사를 거쳐 올라온 11편의 작품들은 고루 미학적 품격과 개별성을 갖추고 있어서 우선 본심으로 올릴 세 작품을 고르기가 만만치 않았다.
그럼에도 심사를 맡은 우리는 가변차선, 목련의 방, 잎사귀이 세 작품을 본심에 올리자는 데 모두의 의견이 빠르게 일치했다. 난관은 지금부터였다.
최종에 오른 시편들은 하나 같이 완성도가 높아서 어느 한쪽에만 점수를 주기가 애매했다.
무엇보다 세 작품의 언어가 가진 경향이나 성질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를 수는 있어도, 각각의 문학적 가치를 놓고 본다면 그 미학적 위상이나 의미심장함의 경중을 따지는 자체가 부질없이 느껴졌다.
이는 선정 이유를 변하는 여타의 글에서 흔히 만나는 푸념을 여기서도 반복하듯 늘어놓을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결국 선택을 치열하게 번복한 끝에 제1회 상상인작품상 수상작은 김은상 시인의 목련의 방이 선정되었다.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목련의 방은 두 개의 풍경으로 나눌 수 있다. 밤마다 술에 취해 식구들의 목에 칼을 들이대는 아비와 집을 나간 채 돌아오지 않는 어미, “얼굴보다 큰 뻥튀기를 깨물며 흙벽 모서리에 난 구멍을 긁고 있는 아이들. 이처럼 가난과 폭력으로 점철되는 가족 서사가 시의 배경이라면 신산한 삶의 비명과 울음이 전경화된 것이 목련의 방이다. ‘은 가족 서사 속에 갇힌 고통과 울음을 바깥으로 외재화하는 동시에 네모난 흙벽안으로 그것을 투영시켜 가둔다. ‘은 수레를 끌며 폐지를 줍는 그녀의 방이자 삶이고, “햇빛과 엉켜/ 킥킥대며 방바닥을 뒹굴던 아이들의 공간이자 생이다. 그리하여 가난과 폭력에 노출된 마음은 방에 갇힘으로써 극복되거나 해소되지 않는다. 마음이 회복되지 않은 시는 그것을 읽는 우리의 마음을 불편하게 만든다구체로 드러나는 타자의 서사가 보편적 슬픔을 획득했음은, 극복되지 못한 마음의 상처가 미적 대상으로 바뀌었음을 가리킨다. 이러한 비극성은 한국인에게 꽤 보편적이다. 그리고 이 보편성이 지닌 공감의 힘이 존재의 슬픔을 승화시킨다.
넉넉한 보편성의 미학과 더불어, 김은상의 시가 의식의 고투로 더욱더 나아가기를 응원한다.
 

심사위원 _ 이성혁 전해수 신상조 평론가()

시상식 _ 2022430(오후 4)

장 소 _ 강호갤러리(종로)

[수상소감]

  

사랑할 수 있을까?

 

청년의 어떤 날이었다. 삶의 기근을 원망하기 위해 어머니에게 물었다. 다시 태어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태어나고 싶냐고. 어머니는 주저하지 않고 대답했다. 아니. 태어나고 싶지 않아. 나는 벽에 주먹질하며 소리쳤다. 그럼 왜 살아야 해? 엄마도 다시는 살고 싶지 않은 이 세상을. 어머니는 한참 생각에 잠겼다. 순간 알 수 없는 분노와 침묵이 뒤엉켜 방 모서리를 적셨다. 어머니가 내 손을 어루만졌다. 고요한 목소리가 울음을 끌어안았다. 사랑해라. 시를 쓰겠다고 마음먹었던 건 그때 즈음이었다.

시작의 난제는 동일성의 시학에 있었다. 모든 비유가 세계에 대한 폭력이거나 나에 대한 자해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때 내가 지켜 온 신념은 무기력하기만 했다. 내가 당신이 될 수 없는 것처럼 당신도 내가 될 수 없었다. 그래서 가끔 분열을 앓았지만 이 또한 불가해한 삶을 향한 변명이거나 방어기제에 지나지 않았다. 이런 생각들이 명치 가득히 차오를 때면 마음의 저편에서 어머니의 말이 불효처럼 떠내려 오곤 했다.

김수영은 온몸에 의한 온몸의 이행이 사랑이며 그것이 시의 형식이라 했다. 나는 수많은 시의 형식을 연습했다. 그러나 정직하게 말하자면 그곳에 사랑하는 자의 어쩔 줄 몰라 함이 있었는지는 자신할 수 없다. 다만 나에게 있어 시를 그만 쓴다는 건 사랑을 멈춘다는 뜻이었고, 사랑을 멈춘다는 건 세상을 살아가야 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기도 했다. 그래서였을까? 절필을 다짐하면 늘 누군가가 찾아오곤 했다.

이재훈 형이 그랬고, 길상호 형과 강재남 누나가 그랬다. 김산과 기혁 시인이 그랬고 김지명 시인이 그랬다. 리안 형, 박민혁, 김대진, 변혜지와 같은 소중한 문우들 역시 따뜻한 온기로 곁을 내주었다. 내가 시를 쓴다는 건 당신을 사랑하기 원한다는 의미였으며, 아직 세상을 살아가야 할 이유가 남아 있다는 선언이었지만, 정작 나는 나를 한 번도 사랑하지 않았다.

고마운 이름들이 많다. 김영국, 조영애, 현근, 영근, 준근, 은경, 애상, 은희. 나는 이들의 아들이자 동생이며 형이고 오빠이지만 매 순간 철없는 어린아이 같았다. 이 자리를 빌려 무한한 고마움과 애틋함을 전한다. 그리고 은사인 박형준 교수님과 김춘식 교수님, 박판식 시인께도 고개를 숙인다. 제자로서 한 번쯤 근사한 모습으로 인사드리고 싶었다. 끝으로 마음속에 간직한 이름들을 호명할 수 있도록 행운을 선물해 준 상상인 편집진과 심사위원께도 감사를 표한다. 나에게 주신 행운에 보답하는 길이 온전히 사랑할 수밖에 없는 자의 모습을 살아내는 일임을 다시금 기억하겠다.

 

김은상 _

 

2009년 [실천문학] 등단. 시집 [유다복음]. 소설 [빨강 모자를 쓴 아이들] [나의 아름다운 고양이 델마]

 

 


 

인기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