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최 . 주관 | 산업교육연구소 |
---|---|
대표분야 | 교육 • 강연 • 멘토링 • 세미나 |
참가대상 | 대학생 , 대학원생 , 일반인 , 해당자 ▶ (기업) |
접수기간 | 2025.09.01 ~ 2025.09.16 |
심사기간 | 2025.09.17 |
대회지역 | 전 국 |
활동혜택 | 수료증 , 교육 제공 , 물품 제공 , 서비스 제공 |
홈페이지 | 주최사 공고 바로가기 |
접수방법 | 온라인접수 |
접수하기 |
온라인 접수하기 |
참가비용 | 유료 접수 (1인 330,000원) 부터 |
콘코 SNS 공유 |
![]() ![]() ![]() ![]() ![]() ![]() ![]() ![]() ![]() ![]() |
![]() |
※ 대회·공모전의 세부요강은 주최사의 기획에 의해 내용이 변경 될 수 있으니, 주최사의 공고를 반드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발전량이 불규칙한 재생에너지의 간헐적 특성을 보완해 주고
송전망 부족으로 인한 출력제한을 해소해 줄 대안으로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BESS는 전력 다소비사업장의 피크부하를 줄여 전기요금을 절감해 주고
주파수조정(FR) 등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서도 활용이 늘고 있습니다.
정부와 전력당국도 지난 7월 540MW(PCS)/3240MWh(배터리)규모
1차 B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진행하여 BESS 건설ㆍ운영사업자를 선정했고
연내 2차 대규모 입찰을 통해 추가로 사업자를 선정할 방침입니다.
이러한 시기에 산업교육연구소(주최)와 이투뉴스(후원)는 9월 17일 개최하는
“재생에너지와 계통유연성 확보를 위한 BESS 확충전략 세미나”를 통해
2차 중앙계약시장 입찰계획과 한전의 전력망 유연성 확보 대책,
배터리 제작사별ㆍ배터리 유형별 최근 기술현황과
각사별 기술별 장ㆍ단점을 한 자리에서 조망해 보고자 합니다.
재생에너지와 계통유연성 확보를 위한 BESS 확충전략 세미나
2025년 09월 17일(수) 10:00~16:50
한국기술센터 16층 국제회의실 (서울 역삼동) / 온라인 스트리밍
온라인등록 또는 전화등록
* 신청자 정보의 정확성을 위하여 온라인 등록을 권장합니다.
주최 산업교육연구소 & 후원 이투뉴스
- 재생에너지 확충과 전력망 유연성 확보를 위한 한전의 주요 사업계획과 현안 과제
- 2차 BESS 중앙계약시장 입찰 주요 추진계획과 검토 사항
- BESS 산업 및 시장 국내ㆍ외 주요 이슈와 기술개발 동향
- BESS 시장을 위한 LG엔솔 배터리ㆍBESS 기술과 전략
- 재생에너지와 계통유연성 확보를 위한 BESS 역할과 필요 기술
- 非배터리계열 장주기 LDES 시장 동향과 바나듐플로우배터리(VFB) 사업성 확보 전략
※ 세부목차는 홈페이지(https://www.kiei.com)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본 행사는 사전등록이 마감될 경우, 현장등록은 불가능하오니 사전등록 바랍니다.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s://www.kiei.com) 또는 전화 (02)2025-1333~7 문의바랍니다.
이메일(kieiseminar@kiei.com) 문의 또는 전화(02-2025-1333~7)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