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업 성적을 평가할 때, 절대적인 성취의 정도가 아니라 집단 안에서의 상대적인 성취도로 평가하는 제도. 수학적인 역량을 확인하려는 적성검사에서 주로 채택되며, 공정한 선발을 목적을 둠. ▶ 절대평가 절대적인 기준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것. 집단의 성취도와는 관계없이 자기 자신의 성취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격고사에서 주로 채택함. 경쟁하는 대상(기준)이 - 요구하는 그 자체가 기준이면 절대평가 (몇명인지 상관 없음)이고, - 상대(사람)가 기준이면 상대평가(몇점인지 상관 없음)입니다. 수학경시대회에 10명이 참가했다고 가정해 볼께요. 10명이 시험을 치러 아래와 같은 점수로 시험 결과가 나왔습니다. 1. 99점 2. 98점 3. 96점 4. 95점 5. 92점 6. 90점 7. 88점 8. 86점 9. 84점 10. 82점 1. 절대평가 방식 이번 시험은 95점 이상 상장이 수여 됩니다. (총 4명) 2. 상대평가 방식 이번 시험은 1,2,3등에게 상장이 수여 됩니다 (총 3명) 95점을 받은 4번은 절대평가 방식이냐, 상대평가 방식이냐에 따라 상을 탈수도 있고, 못 탈 수도 있습니다. 다른 예를 들어보면, 예시1) 1. 새벽 5시 안에 일어난 사람 모두 아침청소 면제 (절대평가 - 기준: 새벽 5시 안내 일어난 사람 모두) 2. 아침에 가장 먼저 일어난 순 3명은 아침청소 면제 (상대평가 - 기준: 가장 빨리 일어난 사람 3명) → 이 경우 모두 제시간에 일어나는 게 목적이라면 절대평가를, 아침 청소할 사람이 필요하다면 상대평가가 좋겠군요!
예시2) 1. 3옥타브 소리 내는 사람 모두 통과(절대평가 - 기준: 3옥타브 소리낸 사람 모두) 2. 옥타브 가장 높은 사람 3명만 통과(상대평가 - 기준: 가장 높은 옥타브 소리낸 사람 3명) 예시3) 1. 농구공 10번 던져 7골 이상 넣은 사람 모두 통과 (절대평가 - 기준: 7골 이상 넣은 사람 모두) 2. 농구공 가장 많이 넣은 3명 통과 (상대평가 - 기준: 가장 많이 넣은 사람 3명) 이와 같이 경쟁하는 대상(기준)이 - 요구하는 그 자체가 기준이면 절대평가 (몇명인지 상관 없음)이고, - 상대(사람)가 기준이면 상대평가(몇점인지 상관 없음)입니다.
|
[솔데스크] AWS·Azure 클라우드 전액무료교육 부트캠프
[중앙정보처리학원] 클라우드 기반 자바(JAVA) 풀스텍 개발자 취업캠프
AI·클라우드·데이터 연계플랫폼 개발자 양성과정 3기
[스포츠마케팅] 스포츠 굿즈 실무 입문 강의
AI MSP 베스핀글로벌의 멀티클라우드 엔지니어 부트캠프
뮤지컬 동아리 [The열정뮤지컬] 42기 추가 모집
40기 희망이 자라는 열린학교 자원봉사자 모집
메이저맵 대학생 학과소개 크리에이터
VARCO 3D AI 크리에이터 프로그램 1기 모집
[굿네이버스] 2025 과천마라톤대회 행사지원 봉사자모집 (대외봉사활동)
2025 ㅊㅊ-하다 페스티벌 홍보 서포터즈 모집
[SPARK Academy] 콘서트, 뮤지컬 프로듀싱 과정 39기 모집
2026 UN 청소년 대표단 모집
[스포츠마케팅] 스포츠 굿즈 실무 입문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