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미래기술교육硏 내달 26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서 세미나 ![]() 최근 각광받고 있는 차세대 배터리인 ‘리튬메탈 배터리’와 관련한 세미나가 열린다.
26일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에 따르면 4월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파이어홀에서 '리튬메탈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최신 소재 개발 및 성능 향상 방안-덴드라이트 형성 억제를 위한 최신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세미나가 온·오프라인으로 병행 개최된다.
최근 전기차 성장세 둔화로 배터리 업계에 한동안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핵심 기반 기술인 차세대 배터리 관련 개발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특히 배터리 및 완성차 업체들의 주된 관심사인 리튬메탈 배터리 관련해 국내 기업들의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현대자동차, 롯데케미칼,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 등 주요 기업들이 리튬메탈 배터리 기술에 주목하며 관련 투자와 연구·개발을 이어가는 추세다.
리튬메탈 배터리는 흑연 음극재 대신 금속 소재의 음극재를 사용하는 전지다. 흑연에 비해 얇고 가벼워 음극재의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밀도와 주행거리를 확대할 수 있다.
다만 충전할 때 음극으로 이동한 리튬이온이 수지 상을 형성해 표면에 전착하는 ‘덴드라이트’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난관이 있다.
덴드라이트가 지속 쌓이면 이때 전착 된 리튬이 분리막을 뚫고 양극에 닿으면서 발화되는 등 배터리의 안전성과 수명을 떨어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번 세미나는 ▲리튬 황(Sulfur) 전지 개발과 상용화 방안 ▲차세대 리튬금속전지용 고성능 음극소재 개발 동향과 상용화 방안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 공정 기술 개발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용 전해질 첨가제 및 무음극(anode-free) 집전체 개발 기술 ▲리튬금속 표면 개질(계면 안정화)을 통한 덴드라이트 성장 제어 및 성능 향상 방안 ▲Ultra-Thin 리튬금속 배터리 개발을 위한 성능향상 방안 ▲리튬금속 배터리를 위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해질 소재 개발과 상용화 방안 등의 덴드라이트 형성 억제를 위한 최신 소재 및 공정 기술에 대한 주제 발표가 예정돼 있다.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관계자는 "현재 사용 중인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이 필요하다“며 ”이번 세미나가 다가오는 차세대 배터리 시대에 관련 기술 개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며 그에 따른 전략을 제시하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솔데스크] AWS·Azure 클라우드 전액무료교육 부트캠프
[중앙정보처리학원] 클라우드 기반 자바(JAVA) 풀스텍 개발자 취업캠프
AI·클라우드·데이터 연계플랫폼 개발자 양성과정 3기
[스포츠마케팅] 스포츠 굿즈 실무 입문 강의
AI MSP 베스핀글로벌의 멀티클라우드 엔지니어 부트캠프
뮤지컬 동아리 [The열정뮤지컬] 42기 추가 모집
40기 희망이 자라는 열린학교 자원봉사자 모집
메이저맵 대학생 학과소개 크리에이터
VARCO 3D AI 크리에이터 프로그램 1기 모집
[굿네이버스] 2025 과천마라톤대회 행사지원 봉사자모집 (대외봉사활동)
2025 ㅊㅊ-하다 페스티벌 홍보 서포터즈 모집
[SPARK Academy] 콘서트, 뮤지컬 프로듀싱 과정 39기 모집
2026 UN 청소년 대표단 모집
[스포츠마케팅] 스포츠 굿즈 실무 입문 강의